2024년 대회 개요
대회 참가 결과
연번 | 분야 | 학교명 | 연구과제명 |
---|---|---|---|
1 | 수학 | 경기과학고등학교 | The Optimal Sequence for Rock Paper Scissors |
(공정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가위바위보 게임의 그룹 분할 방법 최적화) | |||
2 | 수학 |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 Gauss Circle & 3D Extension With Pick's Theorem |
(픽의 정리를 활용한 Gauss Circle Problem 해결 및 3차원 도형에서의 확장) | |||
3 | 공학 | 한국과학영재학교 | Twisted String Actuator Applied Ankle Exoskeleton |
(줄꼬임 구동기를 이용한 보행 보조 외골격의 경량화) | |||
4 | 지구과학 | 충북과학고등학교 | Verification on Binarity of Asteroid (39) Laetitia |
(소행성 (39) Laetitia의 CCD 측광 관측을 통한 쌍성 소행성계의 물리적 특성 분석) |
지원 연구과제 상세
참가학생 소감
경기과학고등학교
권순민 학생
저희 팀은 ‘다수가 참여하는 가위바위보에서 최적의 인원 분배’라는 주제로 ISEF에 참여했습니다.
정말 작은 호기심에서 선정한 주제라 더욱 재미있게 연구를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대회를 준비하는 동안 영어로 발표를 준비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반복해서 연습한 결과, 심사위원 앞에서도 자신 있게 발표하고 질문에 답변할 수 있었습니다.
ISEF를 통해서 수학, 생물학과 같은 순수 학문뿐만 아니라, 사회학과 결합된 확장된 학문도 접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습니다. 특히, ‘드론을 이용한 전쟁 시뮬레이션 연구’가 가장 기억에 남는데, 이런 경험을 통해 연구를 바라보는 관점이 한층 더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유재이 학생
영재학교에 입학한 후 친구들과 팀을 이루어, 주제를 정하고 연구를 시작한 순간부터 모든 것이 특별했습니다. 평소에 풀던 수학 문제들과는 다른, 순수 수학 분야의 도전이었기에 조금은 막막했지만, 대수적인 문제를 기하학적으로 풀어가는 과정이 정말 신기하고 매력적이었어요.
ISEF 대회장에 도착했을 때의 벅찬 감정이 아직도 생생해요.
ISEF는 제가 예상했던 대회의 모습과는 달리 하나의 축제 같았습니다. 각국의 친구들과 핀 버튼을 나누며 서로의 문화를 공유했던 Pin Exchange 시간이 특히 기억에 남아요.
ISEF는 저와 친구들에게 새로운 꿈과 목표를 심어준 아주 특별한 시간이었습니다. 내년에도 다시 도전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생길만큼 소중한 경험이었어요!
한국과학영재학교
신찬 학생
연구를 좋아하는 저에게 ISEF는 정말 꿈만 같은 기회였습니다.
처음에는 우리의 연구가 세계 최대 규모의 대회에서 경쟁력이 있을까 하는 의문과 두려움도 있었습니다.
주말마다 서울에 올라가 교육을 듣는 등 준비 과정이 쉽지 않았지만, 주변에서 ISEF를 준비하는 모습이 행복해 보인다는 이야기를 할 정도로 즐겁게 임했습니다. 대회 당일 수 많은 참가자들이 각자의 부스 앞에서 자신의 연구 결과를 설명하고, 자유롭게 소통했던 순간들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ISEF를 준비하는 후배들이 있다면, 반드시 기회를 잡으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여러분이 상상하는 것 이상의 엄청난 경험을 할 수 있어요!
2024년 행사 개요
2024년 한국대표단 참가 결과
주요활동
구분 | 주요 내용 |
---|---|
한미학술대회(UKC) 컨퍼런스·포럼 |
노벨의학상 수상자 Prof. Thomas C. Sudhof, 한국계 미국인 최초 前어바인 시장 강석희 행정관, UCLA 데니스 홍 교수 등 우수 과학자와 행정가 등의 강연 참가 |
한미학술대회(UKC) 포스터 발표 |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의 한국대표단 학생들이 “ID OCR 인식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인공조명 환경에 관한 연구(Research on artificial lighting environments that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ID OCR recognition)”를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 |
과학기술 기관 탐방 | 구글 베이뷰 캠퍼스(Google Bay View), 스탠포드대학교 등 탐방 |
과학관 탐방 | 캘리포니아과학관(California Academy of Science, Exploratorium) 등 탐방 |
2024년 참가 학생 소감
학생 | 소감 |
---|---|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김지헌 학생 | 평소 존경하던 데니스 홍 교수님의 발표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을 하시고 성과를 이루신 연구자 분들이 연구 성과뿐만 아니라 학문적 통찰을 공유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이는 과학이 단순한 지식의 축적을 넘어, 우리 주변의 생활과 경험의 통합으로 이어진다는 깨달음을 안겨주었습니다. 발표 준비 과정에서 팀원들과 함께 발표를 연습하고 청중 입장에서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주고받은 경험은 무척 뜻깊었습니다. 또한 발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주신 분들 덕분에, 연구 결과의 발표는 단순히 결과의 나열이 아니라 청중과 소통하며 경험을 교류하는 장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피드백 중에 인상 깊었던 것들을 소개하자면, 선행 연구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과, 결과에서 역으로 원인을 분석하는 것 같은 사고 확장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있었는데, 이러한 조언은 앞으로 연구자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학문과 산업계를 넘나드는 한국인들의 활약상을 UKC에서 생생하게 보면서, 국제 과학 커뮤니티의 한 일원이 되었다는 듯한 자부심을 느꼈습니다. 이번 경험은 미래에 나아갈 방향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창의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연구자가 되고자 하며, 다각도로 문제를 분석하고 다양한 학문을 융합하는 연구를 목표로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후배들에게도 끊임없이 새로운 것에 도전하며, 자신이 연구한 것을 발표하는 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신준우 학생 | UKC를 통해 많은 것을 보고 경험했는데, 특별히 좋았던 점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는 UKC가 자신의 진로나 학업적으로 매우 귀중한 기회라는 것입니다. UKC에서 포스터 발표 및 질의응답은 모두 영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구의 타당성 및 논리적 흐름을 영어로 표현해야 합니다. 또한 UKC에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만났습니다. UKC는 서로 명함을 주고받으며 어떤 분야를 연구하는지 이야기하며 친분을 쌓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만약 진로가 연구자이거나 비슷한 분야라면 UKC에서 만든 인적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이처럼 영어로 자신의 연구를 발표하고, 다양한 연구자들과 친분을 쌓는 것은 미래의 여러분에게 진로, 학업적으로 매우 귀중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UKC를 통해 미국의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는 것입니다. 미국에서 UKC에만 참가하는 것이 아닌 미국의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는 일정이 있습니다. 다양한 과학 체험관과 스탠포드 대학, 금문교 등에 방문하였습니다. UKC를 준비하고 참여하며 많은 경험을 할 수 있었는데 이 경험들이 후에 되돌아보면 저를 더 발전시키고 성장하는 계기가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연도 | 수학 | 물리 | 화학 | 정보 | 생물 | 전문 | 지구과학 | 중등과학 | 물리 토너먼트 ** |
---|---|---|---|---|---|---|---|---|---|
2023년 |
|
|
|
|
|
|
|
|
불참
|
2022년 |
|
|
|
|
|
|
|
|
불참
|
2021년 |
|
|
|
|
|
|
Excellent:1, Very Good:6, Good:5 (절대평가로 공식메달 없음)
|
|
불참
|
2020년 * |
|
대회취소
|
|
|
|
대회취소
|
대회취소
|
대회취소
|
대회취소
|
2019년 |
|
|
|
|
|
|
|
|
|
*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일부 분야 대회 취소
** 2021~2023년에는 코로나19•국제정세를 고려, 불참국 간 온라인 친선대회 참가
(2021년) 은메달 (2022년) 동메달 (2023년) 동메달
2
학생캠프/교사워크숍 | 개최 일정 | 개최지 | 규모 |
---|---|---|---|
1회 | 2010년 1월 | 한국(부산) | 9개국 80여 명 |
2회 | 2010년 7월 | 한국(경남) | 8개국 100여 명 |
3회 | 2011년 7월 | 한국(제주) | 11개국 100여 명 |
4회 | 2012년 7월 | 한국(대전) | 8개국 90여 명 |
5회 | 2014년 1월 | 스웨덴 | 9개국 80여 명 |
6회 | 2015년 1월 | 한국(경원) | 10개국 100여 명 |
7회 | 2016년 1월 | 한국(경원) | 12개국 100여 명 |
8회 | 2017년 1월 | 중국 | 13개국 110여 명 |
9회 | 2018년 1월 | 한국(수원) | 10개국 100여 명 |
10회 | 2019년 1월 | 한국(경남) | 9개국 90여 명 |
11회/- | 2020년 | 한국(온라인) | 8개국 20명 |
12회/- | 2021년 | (코사인수업 진행) | 11개국 170명 |
13회/11회 | 2022년 1월 | 한국(온라인) | 10개국 300여 명 |
14회/12회 | 2023년 1월 | 한국(온라인) | 10개국 169명 |
15회/13회 | 2023년 12월 | 한국(서울/경기) | 13개국 133명 |
행사명 : 제13회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및 제15회 교사워크숍
행사 내용 : ASEAN+3 과학영재가 협력하여 과학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학탐구 과제를 수행하는 글로벌 과학캠프
주최/주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창의재단·국제과학영재학회
일시/장소 : 2023.12.17.~12.23. (6박 7일) / 과학기술회관·과천과학관 등
참여자 : ASEAN+3 회원국 학생 104명 및 교사 29명
행사주제 : 지속가능한 과학과 과학자의 역할
참여국가 : 한국(주최국), 중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브루나이, 스웨덴(협력국)
학생캠프 및 교사워크숍 포스터 바로가기!
개막식
탐구 결과 발표회
문화의 밤
연도 | 수상 내역 | 분야 | 과제명 |
---|---|---|---|
2019 | 본상 (4등상) | 환경 | 폐기물 및 김 먹작물 기반 중금속 정수원리 제작 방안 연구 |
2019 |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AAI/특별상) | 생명 | 뇌파를 이용한 인공지능 음악 추천 |
2020 | 대회 취소 | ||
2021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특별상) | 수학 | 국물 모델을 이용한 곡선의 최적화 연구 |
2021 | China Association for Science and Technology (특별상) | 물리 | 회절격자 분광기를 이용한 천체 자동 분광 관측 연구 |
2021 |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특별상) | 환경 | NOAA 위성도 위성을 이용한 해상식생을 기상 예측 시스템 운용 및 검증 연구 |
2022 | American Chemical Society (특별상) Drug, Chemical & Associated Technologies Association (DCAT/특별상) |
화학 | 금속유기골격체(MOF)를 코팅한 산화주석산화물(QCM)을 이용한 단백질 측정 장치 |
2023 | 본상 (4등상) | 생명 | 잔지리 수제의 사남 시 아랫입을 음직임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
구분 | 기간 | 내용 |
---|---|---|
한국과학영재센터-제미한영과학기술자협회 업무협약(MOU) | 2023.6.26. |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의 우수한 인재 양성을 위한 한국과학장의재단과 제미한영과학 기술자협회 간 긴밀한 협력 구축 |
사이브리지(SciBridge) 세미나 | 2024.6-12월 | 재미과기협 소속 우수 과학자와의 정기 웨비나(줌 종회)를 통진, 과학기술자로서의 성, 연구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 등 과학자-과학영재간 양방향 소통 |
제37회 한미학술대회 한국대표단 파견 | 2024.8.21.~8.24. | 과학영재의 한미학술대회 참여를 통해 세계적인 과학자들과 함께 학상 연구 발표, 우수 과학자와의 네트워킹, 연구실 과학관 탐방 등 |